불가살이, 불가사리. 죽일수 없는 망국의 요물 > 공포 미스테리

본문 바로가기

공포 미스테리

[설화전설] 불가살이, 불가사리. 죽일수 없는 망국의 요물

본문

a5266830991eb0626fe51429351bf5d6_1707106584_7459.jpg
 

대중으로 부터 두려움을 얻고 이름을 얻은 존재는 실체를 얻어 사람들에게 해악을 끼칩니다. 절대로 죽일수 없다는 뜻의 불가살이 (不可殺伊) 역시 그렇게 탄생한 요물이지요. 고려중기부터 말기까지 민간에 빠른속도로 퍼져나간 이 구전에 의하면 단 한마리의 불가살이가 고려왕조를 멸망시키고 백성을 도탄에 빠뜨렸다고 되어 있습니다.


불가살이의 탄생에는 몇 가지 이야기가 있는데, 가장 대표적인 이야기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그 중하나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까지 등재되어 있습니다만, 가장 온화한 이야기만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이런 종류의 이야기가 위허한 것이 전승되는 이야기가 점점 걷잡을 수 없이 불어나서, 그 요물이 더욱 강대한 힘을 얻는 경우가 있지 때문이지요. 나중에는 이로인해 권능이 추가되어, 입에서 불을 토해내어 민가를 몽땅 태워버렸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a5266830991eb0626fe51429351bf5d6_1707106618_8385.jpg 

 구전되어 오는 것과 가장 유사한 이미지.


코끼리의 코, 강철보다 더 단단한 체모로 뒤덮힌 곰의 덩치에 사자의 갈기, 그리고 호랑이의 꼬리를 지녔다.


그리고, 오로지 철만을 먹으며 입에서 불을 뿜에 주위를 모조리 태워버리는 이 요수는 그 시대에는 최강의 마수였고, 공포의 상징이었다.


:: 불가살이 탄생에 대한 대표적인 두가지 설화



1. 자연발생설


고려 말 송도(松都)에 한 과부가 살고 있었다.

일찍이 남편을 잃고 수절하던 과부는 가난하여 삯바느질을 하며 살았다.

어느 날 과부의 몸에 딱정벌레 같은 벌레가 기어다니며 몸을 간지럽혔다.


과부가 풀잎을 따 주었으나 벌레는 먹지 않았다. 밥을 주어도,

생선을 주어도 먹지 않자 과부는 바느질을 계속했다. 그런데 갑자기 벌레는 과부의 바늘을 냉큼 삼켜버렸다.


과부는 깜짝 놀랐으나 그 후로 딱정벌레는 계속해서 집안의 쇠붙이들을 먹어치웠다.

벌레는 점점 자라 큰 개만큼이나 커졌다.

드디어 공포의 괴물로 둔갑한 벌레는 과부의 집을 떠나 온 나라 안을 다니며 쇠붙이를 먹어치우기 시작했다.


나라에서는 피해가 극심해지자 갖가지 방법을 동원해 잡으려 했으나 소용이 없었다.

불로도 안 되고 무기로도 안 되는 상황이었다.

이리하여 사람들은 이 괴물을 죽이려야 죽일 수도 없다 하여 불가사리[不可殺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2. 불교일파의 주술설


고려를 지칭하는 송도(松都) 말년에 기종랑이라는 중이 있었는데,

우연히 점쟁이에게서 ‘아들 백 명을 낳을 상’이라는 점괘를 들었다.


그 후 그는 자식을 얻기 위해 절에 기도를 하러 오는 여인들과 관계를 맺어 99명의 아들을 얻게 되었다.


중은 마지막으로 정승부인을 겁탈하려다 이를 들켜서 쫓기는 몸이 되었는데,

여동생의 집에 찾아가서 숨겨달라고 부탁했으나

여동생은 오히려 오빠를 관아에 고발해 상금을 타려고 하였다.


이 사실을 안 여동생의 남편은 인륜을 저버린 아내를 죽이고 처남인 중을 살려준다.


그 보답으로 중은 매제에게 밥풀을 비벼서 만든 알 수 없는 짐승을 주고 떠난다.

작은 벌레처럼 기어 다니는 이 짐승은 처음엔 집 안에 있는 작은 바늘을 먹기 시작해

젓가락, 숟가락, 가위 같이 집안의 작은 쇠붙이를 먹기 시작하더니 호미, 괭이, 솥 등과

같은 큰 쇠붙이까지 닥치는 대로 먹고 점점 자라서 결국은 온 나라 안에 있는 모든 쇠붙이를

다 먹어 치워 집채보다 더 큰 괴물로 변했다.


그러자 나라에서는 이 짐승을 잡으려고 온갖 방법을 동원했지만 이 짐승은 절대로 죽지 않았다.

그래서 이 짐승을 불가사리(不可殺伊)라 불렀다.



:::: 불가살이의 퇴치


이 불가사리가 없어지게 된 계기는 이야기마다 다르다.

중이 지팡이를 휘두르며 혼내자 먹었던 쇠붙이들을 모두 쏟아 놓고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있는가 하면,

무당의 참언(讖言)이 있은 후 고려가 멸망하였고,

그와 동시에 극성을 부리던 불가사리도 함께 사라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무당의 참언 내용은 ‘화생(火生)은 목(木)이요, 목생(木生)은 토(土)라. 태초에 건국할 때

토(土)에서 거목(巨木) 나서 거목에 불꽃이 있었거늘, 시절은 불운해서 목생은 화가 아니라

지금은 목(木)을 이기는 금생토(金生土)라. 쇠붙이를 먹는 괴이한 짐승이 나타났으니, 목은 넘어지도다.

나라의 큰 나무는 쇠붙이로 인해 넘어지도다.’라고 하여,

몰락해가는 왕조 말기의 민심과 사회 분위기를 짐작하게 한다.


또한, 중이 미리 주고간 부적을 붙이자 이때까지 먹었던 쇠들을 모두 토한 뒤

홀연히 사라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림 원본 : Baphomet66 님의 그림

https://bbs.ruliweb.com/community/board/300780/read/52264591?


참조링크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양파의 한국사 블로그, 당골네 사랑방, 불가살이(나무위키)

https://encykorea.aks.ac.kr/Article/E0030766

https://m.blog.naver.com/choonion/221887154947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vivamd&logNo=10155585925

https://namu.wiki/w/%EB%B6%88%EA%B0%80%EC%82%AC%EB%A6%AC(%EC%A0%84%EC%84%A4%EC%9D%98%20%EB%8F%99%EB%AC%BC)

0
로그인 후 추천 또는 비추천하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댓글쓰기

적용하기
자동등록방지 숫자를 순서대로 입력하세요.
전체 7 건 - 1 페이지
번호
제목
글쓴이
게시판 전체검색